데이터분석 전문가/준전문가는 어떤 시험일까?
데이터분석 전문가/준전문가는 데이터를 기본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기본적인 지식과 내용을 바탕으로, 데이터분석 기획 및 분석 등의 직무를 수행하는 실무자를 위한 자격증을 의미하고 있다. 여기서 ADP는 Advanced Data Analytices Professional의 약자이며, ADP의 경우 데이터분석 준전문가를 이미 취득한 사람만 응시 자격을 가지고 있다. 즉 보통 ADsP인 Advanced Data Analytices Semi-Professional을 먼저 취득을 마치고 나서 ADP를 응시하는 프로세스이다.
다만, 아래와 같은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ADsP를 취득하지 않더라도 응시 자격이 주어지니 꼭 참고하자.
(1) 박사학위를 취득한 자
(2) 석사학위를 취득한 상태에서 해당 분야 관련 실무경력 1년 이상을 경험한 자
(3) 학사학위를 취득한 상태에서 해당 분야 관련 실무경력 3년 이상을 경험한 자
(4) 전문대학을 졸업한 이후에 해당 분야에서 실무경력 6년 이상을 경험한 자
(5) 고등학교 졸업후 해당 분야에서 실무경력 9년 이상을 경험한 자.
그러나 ADsP의 취득 난이도가 굉장히 낮은 편이라고 생각하고, ADP 역시 ADsP와 관련한 내용이 포함되어 나오니 먼저 준전문가를 취득하고 난 이후에 더 욕심이 생기거나 필요로 하는 상황이 발생할 때 전문가 자격증에 도전해보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된다. (실제 현업에 있는 실무자로서 느끼기에 ADP를 갖고 있다고 해서, 해당 지원자가 데이터분석에 특출난 자격이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거나 결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데이터분석 전문가/준전문가는 어떤 내용을 다루고 있을까?
데이터분석 전문가와 준전문가는 시험의 난이도도 분명 다르지만, 다루고 있는 범위도 다른 점이 있다. 준전문가는 데이터 기획과 데이터분석 2가지를 바탕으로 시험을 치르지만, 전문가의 경우에는 여기에 더해 시각화까지 시험 내용으로 다루고 있다.
첫 번째는 데이터 기획이다. 해당 파트에서는 얼마나 데이터 분석 기획에 대한 이해를 가지고 있는지와 분석 거버넌스 체계를 수립할 줄 아는지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분석 기획을 함에 있어 어떻게 방향성을 잡아 도출하고, 어떤 방법론을 사용할 것이며 해당 분석 프로젝트를 어떻게 관리해나갈 것인지에 대해서 다룬다. 또한 분석 거버넌스 체계 수립을 통해 분석을 함에 있어 체계적으로 그리고 짜여진 규칙을 통해 설계해나감을 다루는 내용이다. 개인적으로 데이터 분석을 다양한 방법론을 통해 잘한다고 하더라도, 분석에 대한 기획없이 마구잡이식으로 분석하는 경우를 많이 봐왔기에 해당 파트는 분석에 있어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두 번째는 데이터 분석이다. 해당 파트에서는 R프로그래밍에 대한 기초적인 내용을 다루고, 데이터 정제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부분을 다룬다. 또한 통계분석을 통해서 기초 통계 및 시계열 예측 등 실제로 현업 분석가들이 많이 사용하는 기법과 통계 지식에 대해서 다룬다. 마지막으로 정형 데이터 마이닝에 대해서 배운다. 이 부분은 사실 주니어들이 다루기에는 어려움이 있고 주로 시간이 많고 고민을 깊이 할 수 있는 시니어들이 사용하는 기법인데, 분류, 군집, 연관 분석 등을 다루어서 현업에서 쓰이는 아주 기초적인 분석 방법론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실제로 분석함에 있어 정형 데이터 마이닝이 비즈니스 임팩트를 가져다주는데 중요하게 쓰이는 기법은 아니지만, 종종 사용할 때가 있으니 공부할 때 꼭 꼼꼼히 익혀두면 좋을 것 같다.
마지막 세 번째는 데이터 시각화이다. 앞서 언급했지만, 데이터 시각화는 준전문가에서 다루지 않고 전문가 시험에서만 다루는 파트이다. 데이터 시각화 파트에서는 시각화 인사이트 프로세스에 대해서 다룬다. 실제로 시각화를 함에 있어 탐색, 분석, 활용 3단계에 거쳐 각각 다른 뷰의 시각화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에 대해 깊이 다룬다. 또한 디자인에 대해서 다루는데 빅데이터가 가져다줄 수 있는 디자인 기법은 정말 다양하다. 그래서 분석을 다하고 나서 비슷한 내용을 다루고 있음에도 디자인이 잘된 시각화가 더 명확한 의미전달을 가져다 주기 때문에 끝맺음을 담당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마지막으로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시각화를 구현하는 파트도 있어서 이 부분까지 마무리하면 해당 시험에서 다루는 내용이 마무리된다고 보면 된다.
물론 위 메인 3개 파트 외에도 기본적인 데이터에 대한 이해와 처리 기술에 대해서도 중요하게 다루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 이해"와 "데이터 처리 기술 이해"에 대해서도 꼼꼼히 공부할 필요가 있다.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취득까지 소요되는 공부 기간은?
필자는 데이터분석 준전문가만 취득하였는데 이를 취득하기까지 공부시작부터 약 3주 가량 소요되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기본적으로 데이터에 대한 공부를 학사기간동안 하였으니, 짧은 시간이 걸렸다고 생각하지만 단기 기억력이 좋은 사람들의 경우 더 빨리 취득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만큼 어려운 자격증이 아니고, 조금만 시간내서 외워 공부하면 금방 취득할 수 있으니 용기내서 바로 도전하길 권장한다.
'데이터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새롭게 달라지는 SQLD(SQL 개발자), SQLP(SQL 전문가) 시험정보 (0) | 2024.03.04 |
---|---|
데이터 분석가(DA) & 비즈니스 분석가(BA) 무슨 차이일까? (0) | 2024.03.04 |